송사리

Slice 2 2

생물종 송사리는 동갈치목 송사리과에 속하는 민물고기입니다. 국내에는 송사리(Oryzias latipes)와 대륙송사리(Oryzias sinensis) 두 종이 서식합니다. 대륙송사리는 과거 송사리와 동일종으로 취급되었으나 1989년에 신종으로 기재되었습니다. 송사리는 성어가 4cm 내외이며 보통 2cm 정도만 되어도 산란할 수 있습니다. 서식지 송사리는 물 흐름이 느리고 수초가 우거진 곳에 주로 서식합니다. 호수나 연못, 작은 웅덩이, 농수로 등이 주요 서식지입니다. 실제로 송사리 서식지를 보면

더 읽기 >

간흡충(간디스토마)은 무엇인가요?

Slice 2

간흡충(간디스토마)의 정의 간흡충(Clonorchis sinensis)은 후고흡충과에 속하는 편형동물로, 간디스토마라고도 불립니다. 이 기생충은 주로 사람의 간 내 담관에 기생하며, 간 및 담도 기생충질환을 일으킵니다. 기생 대상 및 어종 간흡충은 주로 민물고기를 통해 감염됩니다. 중간 숙주로는 물달팽이와 수초가 있으며, 최종 숙주는 사람을 포함한 포유류입니다. 감염되는 주요 어종으로는 붕어, 잉어, 피라미 등 30여 종의 담수어가 있습니다. 크기 간흡충의 성충은

더 읽기 >

폐흡충 (폐디스토마)

기생충 명 폐흡충 (폐디스토마) 기생 대상 및 어종 기생지역 : 주로 하천과 호수에서 기생합니다. 기생어종 : 1차적으로 다슬기를 중간숙주로 삼고 2차적으로는 게와 가재를 중간숙주로 삼습니다. (갑각류) 크기 1~2cm 주의점 – 기생충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절대로 민물고기 및 갑각류(참게, 민물가재)를 생으로 먹어서는 안 됩니다. 특히, 민물 게장을 먹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. 결핵과 비슷한 증상을 보입니다. 폐디스토마는

더 읽기 >

성덕천 (경기도 양평)

성덕천 정보   성덕천은 양자산에서 발원하여 남한강으로 흘러들어갑니다. 계곡으로 명명되지는 않았지만 상류는 오염원이 없어서 맑습니다.   성덕천 수질 성덕천은 상류 및 중류(발원지~성덕교 부분)는 2.5급수로 보여집니다. 물놀이를 할 수 있는 수질로는 보여집니다.   다만 중류에 축사가 존재하여 중류부터 하류(성덕교~남한강 합류부)는 물놀이에 부적합해보입니다.   성덕천 수량   수량이 많지 않습니다.   성덕천 주변 정보   성덕천 하류

더 읽기 >

덕두원천 (강원도 춘천)

덕두원천 정보   덕두원천은 북배산과 계관산에서 발원하여 북한강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입니다. 계곡으로 명명되지는 않았지만 오염원이 적은편이기에 맑은 편입니다.   덕두원천 수질   덕두원천은 2~2.5급수로 보여집니다. 물놀이를 할 수 있는 수질로는 보여집니다.     덕두원천 수량   수량이 일반적인 하천 수준입니다. 하지만 깊은 곳은 없습니다.   덕두원천 주변 정보   덕두원천 주변에는 특별한 것은 없습니다. 펜션이 몇

더 읽기 >

무갑천.무갑리계곡 (경기도 광주)

무갑천 정보   무갑천은 관산과 무갑산에서 발원하여 경안천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입니다. 상류에 무갑리 계곡이 있지만 규모가 작아서 멀리서 놀러가기에는 부적합합니다.   무갑천 수질   무갑천은 상류는 1.5급수 ~ 2급수로 보여집니다. 물놀이를 하기에 적합한 수질입니다. 다만 무갑리 계곡 자체가 상당히 작아서 물놀이라기보다는 발을 담그는 수준입니다. 중류~하류에는 공장이 많아 오염원이 있을 가능성이 상당히 높습니다. (무갑리 마을회관 ~ 경안천

더 읽기 >

경기 광주 버스 3800

버스 정보   광주 퇴촌면에서 출발해서 서울 양재역까지 갑니다.   노선 특징   퇴촌면으로 향하는 노선입니다. 양재역으로 직행하는 버스이기에 퇴촌면과 광주시에서 탑승하기에 적합합니다.   배차간격 및 주의점   평일 20~30분 주말 30~40분 (2023년 3월 기준)   시간표 정보 횟수 평일 토요일 일,공휴일 1 05:30 05:30 05:30 2 05:50 06:05 06:05 3 06:20 06:35 06:45 4

더 읽기 >

경기 광주 버스 13-2

버스 정보   광주 퇴촌면에서 출발해서 서울 강번역까지 갑니다.   노선 특징   퇴촌면으로 향하는 노선입니다. 퇴촌면에서 서울로 가기에 제일 배차간격이 짧은 노선입니다.   배차간격 및 주의점   평일 15~25분 주말 30~60분 (2023년 3월 기준)   시간표 정보 횟수 평일 토요일 일요일 1 05:30 05:30 05:30 2 05:45     3 06:00 06:00 06:00 4

더 읽기 >

광주 12번 버스 (경기도 광주)

버스 정보   광주시차량등록사업소에서 출발해서 경기광주역, 광주시청, 퇴촌사거리, 우산리를 거쳐서 천진암으로 갑니다.   노선 특징   천진암 계곡으로 향하는 노선입니다. 배차 간격이 긴 편입니다. 하지만 광주시내에서 천진암 계곡으로 가는 버스 중에서 제일 낫습니다.   배차간격 및 주의점   70~90분 (2023년 3월 기준)   시간표 정보 횟수 평일 토,일,공휴일 차량등록사업소 천진암 차량등록사업소 천진암 1 06:55 07:53

더 읽기 >

우산천 / 천진암 계곡 (경기도 광주)

우산천 정보   우산천은 관산과 앵자봉에서 발원하여 팔당호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입니다. 상류의 천진암 계곡이 유명합니다. 수도권에서 맑은 계곡으로 유명합니다.   우산천 수질   우산천은 상류는 1.5급수 ~ 2급수로 보여집니다. 물놀이를 하기에 적합합니다. 심각한 오염원은 보이지 않습니다.   우산천 수량   우산천은 수량이 괜찮은 편입니다.   우산천 주변 정보   우산천 상류에는 천진암 성지와 강동고등학교 교육원이 있으며,

더 읽기 >